본문 바로가기
인간관계

나답게 살아가는 관계의 기술, 타인의 시선에서 나를 지키는 법

by 니채 2025. 4. 22.
반응형

 

 

인간관계, 적당히 이기적으로 살기

인간관계에서는 모든 사람과 잘 지내려고 애쓰기보다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감정 관리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기보다 인정하고 건설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자존감에 있어서는 타인의 시선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린 시절의 경험이 현재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통해 자존감을 향상시키도록 합니다.

 

 

지나가는 사람들


1. 관계의 거리 조절 

● 모든 관계는 유동적이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거리와 친밀감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손절은 해결책이 아니다. 자주 손절하는 사람은 관계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관계 평가하기 

● 관계의 레벨을 평가하라. 사람들과의 관계를 1점에서 10점까지 평가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 예를 들어, 9점 관계는 자주 만나고 소통하는 반면, 1점 관계는 거의 연락하지 않는 경우다. 
● 모든 관계는 변할 수 있다. 1점짜리 관계도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될 수 있다. 


3. 감정의 중요성 

● 부정적인 감정도 소중하다. 감정은 나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신호다. 
● 감정을 소화하라. 감정이 올라올 때 이를 받아들이고 소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부정적인 감정은 딱딱하고 거친 음식과 같으며, 이 감정도 소중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 감정은 나에게 신호를 보내며, 화나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이 왜 발생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감정을 수용하고 표현하는 것은 감정 조절에 도움이 되며, 예를 들어, 화가 났을 때 이를 인정하고 자신에게 질문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 감정 해소를 위해 깊고 긴 호흡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감정을 진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힘든 성격 유형을 이해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스스로를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정을 나타내는 얼굴

 

 


4. 감정 조절 방법 

 

감정을 인정하라. 화가 나거나 슬플 때, 그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 숨쉬기 연습. 깊게 숨을 쉬는 것이 감정 조절에 도움이 된다. 
● 자기 관찰. 감정이 올라올 때, 왜 그런 감정이 드는지 스스로 질문해보는 것이 좋다. 


5. 관계에서의 경계 

● 경계선을 설정하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경계선을 명확히 하고, 타인의 의도를 의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피하는 것이 좋다. 
● 자기 보호가 필요하다. 해로운 사람들과의 관계는 거리두기를 통해 조절해야 한다. 


6. 자존감과 부모의 영향 

● 자존감이 중요하다. 자존감은 개인의 마음의 기둥으로, 튼튼한 자존감이 필요하다. 

부모의 언어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가 자녀의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자기 수용과 회복. 자신을 수용하고 위로하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이다. 

부모와 아이


7. 우울증과 대처 방법 

● 우울증은 나쁜 것이 아니다. 우울증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 신호를 알아차리라. 우울증의 신호를 빨리 알아차리고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사하는 습관.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 우울증의 정도에 따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도가 다르며, 가벼운 우울증은 도움을 잘 받아들이지만 깊어질수록 그렇지 않다. 
- 우울증이 심한 경우 주위의 비난이나 자책이 발생하며, 이는 자신이 우울증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 우울증환자는 스스로도 게으르다고 느끼며, 치료를 받기까지 평균 3년이 걸릴 수 있다. 
- 주변의 지인들은 힘든 이야기를 할 때 섣부른 조언 대신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진정한 지원이 이루어진다. 
- 통계에 따르면, 우울증환자의 80%가 치료를 받지 않으며, 빠른 회복을 위해 상담과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우울한 사람


8. 대화의 중요성 

● 가벼운 대화부터 시작하라. 깊은 대화는 소원한 관계에서 시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벼운 대화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대화는 거울과 같다.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존재를 확인하고,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화는 상대방을 비춰주는 거울과 같으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삶을 살아간다. 
- 처음 대화를 시작할 때는 상호 관계에 따라 가벼운 주제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화를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부모의 반응을 통해 감정을 이해하게 된다. 
- 대화의 필수 요소는 상대방의 감정에 대한 확신과 수용이다, 즉 '너의 존재는 괜찮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공감의 의미는 상대방의 감정을 인정하는 것이지, 무조건적인 동의는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반응형